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

마더, 김혜자 원빈 주연 평점 높은 한국 영화 마더 감독 봉준호와 출연진 한국 영화감독 봉준호 님은 명작을 만들어 낸 거장입니다. 나오는 작품마다 너무 걸쭉한 작품이 나오니까, 이 분은 어떤 생각을 하고 살아갈까? 개인적으로 참 궁금합니다. 많은 작품을 내놨는데 대개가 많은 찬사를 받고 있는 감독님이잖아요? 봉준호가 장르라는 말을 들은 적이 있었는데 세계가 인정하는 참 자랑스러운 한국인입니다. 이 작품은 봉준호 4번째 작품이고 개인적으로 다른 작품들에 비해 뒤처지지 않는다라고 생각을 합니다. 김혜자 선생님이 도준이 엄마 역을 맡았습니다. 마음이 아픈 아이를 정성껏 돌보며 착실히 잘 살고 있습니다. 우여곡절이 많아 보이는 캐릭터에 아픈 아들까지 케어하느라 정신없어 보이지만, 아들에게만큼은 세상 다정한 모습을 보입니다. 아들이 용의자라고 지목되지만, 아.. 2024. 1. 28.
영화 해피뉴이어, 연말 겨울 감성 충전 영화 해피뉴이어 출연진 한지민 소진 역 : 호텔에서 일은 잘하지만 연애는 꽝인 것 같은 캐릭터, 승효에게 마음을 언제 전달할까 고민만 하고 있습니다. 김영광 승효 역 : 소진에게 달달한 눈빛을 보내지만, 결과적으로는 결혼 통보만 한 소진의 남사친 이동욱 용진 역 : 짝수 강박증을 가지고 있는 이 호텔의 대표, 늘 이동욱 배우 이미지가 그렇듯 선한 맘찢남 캐릭터. 원진아 아영 역 : 호텔 엠로스 직원, 하우스 키퍼, 뮤지컬 배우를 꿈꾸는 젊은 청춘. 강하늘 재용 역 : 모닝콜을 해주는 호텔 직원입니다. 재용에게도 센스 있는 아침잠을 깨워주고 그를 달래죠. 목소리만 나오고 마지막에 짤막하게 나오지만, 이젠 배우입니다. 5분을 나와도 이렇게 나와야 된다 생각이 듭니다. 이혜영 캐서린 역 : 딸의 결혼식에 참석하기 .. 2024. 1. 28.
화란, 출연진 줄거리 가정의 보살핌의 중요성 화란 출연진 김연규/ 홍사빈 : 아직은 어린 고등학생 소년입니다. 새아버지의 폭력 때문에 아버지를 볼 때면 몸을 떱니다. 주인공의 꿈은 돈을 많이 벌어 엄마와 함께 네덜란드로 이민 가는 겁니다. 하얀색 빛만 가득할 것 같은 그곳에 삶의 지겨움 따위 다 놔두고 갈 모양인가 봅니다. 을 검색해 보면 네덜란드라는 나라가 나옵니다. 그러나 이 영화의 제목은 Hopeless 죠. 절망적인, 끔찍한, 이런 뜻으로 쓰입니다. 치건/송중기:중간 보스입니다. 몸 여기저기의 상처는 곱게 자라오지 않음을 보여줍니다. 그도 어린 시절 이미 사는 게 지옥이라는 걸 깨닫고, 살기 위해 피도 눈물도 없이 삽니다. 자신과 가난한 동네, 비슷한 환경에서 자란 연규에게 동정심을 품습니다. 김하얀/김형서:연규의 의붓 여동생, 그녀 역시 .. 2024. 1. 21.
리틀포레스트, 힐링 영화 줄거리 결말 영화 리틀포레스트 출연진 혜원(김태리) : 남자친구와 함께 임용고시를 준비했으나 본인만 떨어지고 아르바이트 생활에 지쳐 고향으로 다시 내려오게 되는 인물입니다. 엄마가 자신을 버리고 떠나 엄마에 대한 미움도 남아 있으나 그곳에 머물면서 엄마와의 추억이 깃든 요리들을 하면서 자신의 상처를 치유하며 엄마의 편지에 대한 내용을 이해하게 되는 인물입니다. 재하(류준열) : 혜원의 어릴 적 친구로 지방대를 졸업하고 서울에서 일을 시작했으나 직장 생활에 대한 회의감을 느껴 부모님의 농사일을 도우며 자신만의 작은 과수원을 재배하고 있습니다. 불쑥 나타난 혜원이 홀로 집에 있는 것을 걱정하여 강아지 한 마리를 선물하고 고민 역시 잘 들어주는 스위트한 친구입니다. 은숙(진기주):혜원의 어릴 적 친구로 고향을 떠난 적 없.. 2024. 1. 19.
콘크리트 유토피아, 해석 재난 웹툰 한국영화 영화 콘크리트 유토피아 등장인물 출연진 김영탁(이병헌) 아파트 사람들의 임시대표로 선발된 인물로 그들을 이끌게 됩니다. 주명화(박보영) 민성의 아내로 따뜻한 마음씨를 가진 채 주변인들을 보살펴줍니다. 김민성(박서준) 영탁의 눈에 띄게 되어 방범대 반장으로 활약하게 되는 등장인물입니다. 문혜원(박지후) 외부에서 겨우 살아남은 뒤 황궁으로 돌아오게 되는 인물입니다. 김금애(김선영) 주민들을 하나로 뭉치기 위해 적극적으로 앞장서는 부녀회장입니다. 도균(김도윤) 사람들과 마찰을 일으키기도 하지만 자신의 소신을 지킵니다. 영화 콘크리트 유토피아 줄거리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에 건물이 본격적으로 들어서기 시작한 1970년대, 건축 기술의 발달로 인해 건물은 변화하고 방의크기도 점점 커지게 되는데 그 결과 서울 이곳저.. 2024. 1. 17.
영화 터미널, 줄거리 결말 인생은 기다림의 연속 실화 모티브 영화 1988년부터 2006년까지 프랑스 파리 샤를 드 골 국제공항에서 무려 18년 동안 머물렀던 이란인 메르 한 카리미 나세리의 실화를 모티브로 한 영화입니다. 모하메드 레자 팔레비 정권에 맞서는 저항운동에 참여하면서, 이란에서 추방. 유럽 여러 나라에 망명을 요청했지만 거절 어머니가 거주하던 영국으로 돌아가던 중 신분증을 포함한 소지품을 도난 (입국이 금지, 파지 공항 추방) 자서전 출간 영화 드림웍스에서 30만 달러 받음 2006년 건강 악화. 병원 입원 파리 거주 외 2022년 11월 2일 파리공항에서 사망 실제 그의 인생은 영화보다 더 영화 같습니다. 스티븐 스필버그 & 톰 행크스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과 톰 행크스가 , 이후 세 번째 합을 맞춘 영화입니다. 믿고 보는 두 사람의 컬래.. 2024. 1. 17.
반응형